최근 베트남 수도 하노이를 보라. 깨끗해진 공기로 인해서 멀리 보이는 건물들이 모두 또렷하게 보이고 있다. 2019년 11월 30일 하노이를 방문했을 때, 차량과 오토바이 매연으로 인해 밖을 다닐 때 눈이 매웠고, 목은 컬컬했고, 기침이 자주 나왔다. 우선은 매연 냄새가 지독해서 택시를 타고 이동하는 중에도 창문을 열 수 없었다. 창문을 열면, 지나다니는 오토바이, 차량의 매연이 그대로 안으로 들어왔다. 하노이 관광 명소를 순회하는 시티투어버스 2층에 올라가서 밖을 구경할 때도 매연으로 인해서 목이 컬컬하고 따가워서 숨쉴때마다 기분이 좋지 않았다. 다만, 하노이는 휴양지가 아니니까, 그런가 보다 하고 여행을 했었는데, 지금 하노이는 차량과 오토바이가 거리에서 사라지면서 하늘은 맑아졌고, 공기가 좋아졌다. 코로나 사태로 베트남 정부에서 강한 봉쇄조치를 취했고, 이로 인해 경제활동이 정체되면서 환경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다. 강한 제한 조치로 인해 기업의 경제 활동이 감소했고, 이로 인해 탄소배출이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은 제한 조치가 해제되면 어떻게 될까?
코로나 19, 코로나 사태가 환경에 주는 영향에 대한 BBC 뉴스 기사가 있다. 이 글은 환경과 코로나 사태에 대한 직접적인 연관성을 설명하고 앞으로를 예측하는 자료이다. 코로나 19 확산을 제어하고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서 전 세계에 가장 큰 여행 규제 조치가 내려졌고, 이로 인해서 항공 산업이 크게 위축됐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서 산업과 교통망, 기업들이 멈춰 서면서, 탄소배출량이 급감했고, 작년 이맘때와 비교하면 뉴욕은 거의 50%, 중국은 25% 감소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빠른 시간 안에 탄소배출 급감이 가능했던 것은 코로나 19처럼 눈앞에 닥친 실존적 위협 때문이다. 현재 코로나 19 사망자가 26일 기준으로 20만 명을 넘어섰고, 확진 사례는 전 세계 250만 건 이상이다. 이러한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은 일자리를 감소시켰고, 바이러스 통제조치로 경제활동은 정체됐고, 주식시장은 탄소 배출량과 함께 폭락했다는 사실을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 코로나 사태가 환경에 주는 영향에 대한 원인과, 대책에 관한 이야기인데, 역사적 전염병, 습관의 힘, 공동체 행동 3가지 사례에 대해 요약하고 있다. 역사적 전염병으로 인해서 환경이 영향을 받았었던 경험이 있었고, 습관의 힘과 공동체 행동에서 코로나 사태가 환경에 주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얘기이다.
첫째 역사적 전염병에 대한 이야기는 이전에도 유렵의 흑사병, 남아메리카의 천연두 등이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였다고 언급했고, 2009년 금융위기 당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급격히 줄었지만 경기가 회복되면서 2010년 사상 최고치로 반등했다는 사실에서, 코로나 19도 비슷하게 경제가 회복되면 탄소배출량도 다시 이전과 같이 복귀할 것을 예측하고 있다는 것이다. 탄소배출량이 이전과 같이 복귀하는데 중요한 영항을 줄 수 있는 것은 코로나 19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이고, 만약 코로나 19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진다면 저임금으로 인해서 사람들 소비수요는 계속 낮은 단계로 유지될 거고, 그러면 탄소배출량도 쉽게 증가하지 않을 거라 전망하고 있다. 강한 봉쇄 정책을 시행한 나라들이 서서히 완화 정책을 시도하고 있고, 앞으로 더 많은 나라들이 경제 회복에 집중할 것이다. 이때 경기 부양 정책이 청정에너지와 같은 분야에 초점을 둔다면, 탄소 배출량 반등은 덜할 수 있으니, 각 나라 경기 부양 정책에 따라 환경에 주는 영향은 긍정적이 될 수도 있겠다.
둘째 습관의 힘에 대한 이야기인데, 사람들은 코로나 19 전파를 막기 위해서 마스크 쓰는 것을 생활화하고 있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서 이동을 자제하고 있다. 여행을 자제하고, 운전을 자제하는 습관이 만들어지고, 이러한 습관은 자연스럽게 매연가스 배출 감소를 지속할 수 있겠다.
셋째 공동체 행동은 코로나 19 속에서 각 나라, 각 공동체들이 서로를 보호하고자 취한 조치에 대한 얘기다. 기후 과학자들은 기후변화를 위급한 위험으로 다룰 경우 지금처럼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다고 설명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조치를 취하고자 한다면 실제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고, 이것은 기후변화 대처에 있어 좋은 교훈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출처 BBC 뉴스 : 2020.4.26
'해외토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로부터 승리, 베트남의 현재 (0) | 2020.05.12 |
---|---|
베트남 코로나19 강력한 봉쇄조치, 강력한사회적거리두기 실행, 현재상황 (0) | 2020.04.22 |